Slide 1

Slide 1 text

AWS 핵심 서비스 한눈에 보기: EC2, RDS, S3 개념과 활용법 2025/10/09 김재욱(Kim Jaewook) Solutions Architect | Classmethod

Slide 2

Slide 2 text

자기소개 2 이름 : 김재욱(Kim Jaewook) 소속 : Classmethod 직무 : Solutions Architect ※ 2023, 2024, 2025 Japan AWS All Certifications Engineer ※ 사내 블로그 AWS 관련 투고 약 450여개

Slide 3

Slide 3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란?

Slide 4

Slide 4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4 AWS에서의 서버 관리는 주로 가상 클라우드 서버인 아마존 EC2를 활용해 이루어집니다.

Slide 5

Slide 5 text

아마존 EC2 • AMI(Amazon Machine Image) : EC2 인스턴스를 시작하는 템플릿 • 인스턴스 유형 : CPU, 메모리와 같은 하드웨어의 조합 • 스토리지 옵션 :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 EBS 볼륨으로 구분되며, EC2 인스턴스의 저장 공간 • 보안 그룹 : EC2 인스턴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제어하는 가상 방화벽 • 키 페어 : EC2 인스턴스 접속에 사용되는 키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5

Slide 6

Slide 6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6 AMI 아마존 EC2를 시작하는 데 필요한 소프트웨어 구성을 담고 있는 템플릿 구성에는 OS나 애플리케이션을 구성 대표적으로 윈도우나 맥, 우분투, 리눅스 같은 OS를 제공

Slide 7

Slide 7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7 • Quickstart AMIs : 빠른 아마존 EC2 구축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AMI입니다. • 내 AMI : 내가 직접 만든 AMI입니다. • AWS Marketplace AMI : 기업이 만든 AMI이며, OS를 포함하여, 워드프레스와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AMI를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 커뮤니티 AMI : 사용자가 만든 AMI이며, AWS에 의해 검토를 받은 AMI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AMI

Slide 8

Slide 8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8 • Quickstart AMIs : 빠른 아마존 EC2 구축을 위해 선택할 수 있는 AMI입니다. AMI

Slide 9

Slide 9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9 • 내 AMI : 내가 직접 만든 AMI입니다. AMI

Slide 10

Slide 10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0 • AWS Marketplace AMI : 기업이 만든 AMI이며, OS를 포함하여, 워드프레스와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AMI를 사용해볼 수 있습니다. AMI

Slide 11

Slide 11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 1 • 커뮤니티 AMI : 사용자가 만든 AMI이며, AWS에 의해 검토를 받은 AMI가 아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AMI

Slide 12

Slide 12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2 인스턴스 유형에는 범용, 컴퓨팅 최적화, 메모리 최적화, 스토리지 최적화, 가속화된 컴퓨팅 등 다양한 사례에 최적화된 인스턴스 유형을 제공

Slide 13

Slide 13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3 t계열의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 : t2.micro, t3.micro, c5a.xalrge • 인스턴스 패밀리 : 사용 사례를 기준으로 범용, 컴퓨팅 최적화, 메모리 최적화, 스토리지 최적화, 그리고 가속화된 컴퓨팅과 같은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 • 인스턴스 세대 : 숫자가 큰 쪽이 최신 세대 • 인스턴스 옵션 : 옵션이 없는 인스턴스 유형도 있습니다. • 인스턴스 크기 : CPU와 메모리에 따라 인스턴스 크기가 분류 ※ 인스턴스 크기는 nano → micro → medium → small → large →xlarge → 2xlarge 순으로 이어집니다.

Slide 14

Slide 14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4

Slide 15

Slide 15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5 아마존 EC2에서는 두 가지 스토리지 옵션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 EBS 볼륨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 특징 •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 = 휘발성 스토리지 • 임시 스토리지 용도로 적합 • 인스턴스 중지·삭제 시 데이터 손실 • 백업 불가 → 복구 불가능 • 인스턴스에서 분리 불가 • EBS보다 높은 IOPS / 처리량 / 낮은 지연 시간 • 높은 I/O 성능이 필요한 스토리지에 이상적 ※ IOPS (Input/Output Operations Per Second) : 초당 처리 가능한 I/O 작업 수를 의미, 예를 들어, 읽기/쓰기 요청을 1초에 몇 번이나 처리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성능 지표

Slide 16

Slide 16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6 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할 시,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의 사용 유무를 확인 가능

Slide 17

Slide 17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7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을 사용할 수 없는 인스턴스 유형은 공백으로 출력

Slide 18

Slide 18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8 • 인스턴스 스토어 볼륨 = EC2 인스턴스 내장 디스크 • EBS 볼륨 = EC2 인스턴스와 독립적으로 관리 • EC2 없이도 유지 가능 • 별도 비용 발생

Slide 19

Slide 19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19 • EBS 볼륨 = 독립적 관리 • 복수 볼륨 생성 가능 → EC2 인스턴스 연결 • 백업·복원 가능 → 데이터 손실 방지 • 비휘발성 → 인스턴스 중지·삭제 시 데이터 유지 • 일반적으로 EBS 볼륨 사용 권장

Slide 20

Slide 20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0 EBS 볼륨은 SSD, HDD 볼륨으로 분류 범용 SSD (gp2, gp3) = 널리 사용되는 EBS 볼륨 유형 선택 고민 시 범용 SSD 권장

Slide 21

Slide 21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1 보안 그룹은 IP, 포트, 프로토콜 기반으로 접근을 허용/차단하는 가상 방화벽 역할 인바운드 규칙은 외부 → EC2, 아웃바운드 규칙은 EC2 → 외부 트래픽을 제어

Slide 22

Slide 22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2 보안 그룹 = EC2 인스턴스의 방화벽 역할 인바운드 규칙: 외부 → EC2 접근 제어 아웃바운드 규칙: EC2 → 외부 트래픽 제어 기본적으로 아웃바운드는 모든 트래픽 허용 → 인터넷 통신 가능

Slide 23

Slide 23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3 아마존 EC2 • EC2 인스턴스는 IP 주소 보유 • 온프레미스 ↔ EC2 : IP 기반 접근 허용 가능 방향성 ● EC2 → 온프레미스 : 온프레미스 방화벽에서 EC2 IP 허용 ● 온프레미스 → EC2 : EC2 보안 그룹에서 온프레미스 IP 허용

Slide 24

Slide 24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4 • 프라이빗 서브넷 EC2 → 프라이빗 IP만 할당, 외부와 직접 통신 불가 • 해당 프라이빗 IP는 서브넷 내에서 고정되어 변경되지 않음 • 퍼블릭 서브넷 EC2 → 퍼블릭 + 프라이빗 IP 할당 • 퍼블릭 IP는 재부팅/재시작 시 변경될 수 있음 • 고정 IP 필요 시 탄력적 IP(Elastic IP)를 사용하여 안정적 식별 가능 프라이빗 서브넷

Slide 25

Slide 25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5 EC2에는 또 다른 보안 장치인 키 페어가 필요함 키 페어는 EC2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필수 요소 보안 그룹에서 IP를 허용했다고 해서 EC2에 바로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님 키 페어가 없으면 로그인이나 원격 접속이 불가능함

Slide 26

Slide 26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6 아마존 EC2 • 인터넷을 통한 EC2 인스턴스 접속 • EC2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 이용 • 세션 관리자 이용한 콘솔에서의 접속 • 세션 관리자 이용한 포트 포워딩 접속

Slide 27

Slide 27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7 인터넷을 통한 EC2 접속 = 퍼블릭 서브넷에 EC2를 두고 퍼블릭 IP를 통해 인터넷에서 직접 접근 보안 위험 → 외부 노출이 되므로 운영 환경에서는 잘 쓰지 않음 활용 사례 ● Bastion Host(점프 서버)로 사용 → 프라이빗 서브넷에 있는 서버로 접속하기 위한 발판 ● 단순 테스트·학습 목적

Slide 28

Slide 28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8 AWS 콘솔 브라우저 접속 ● 콘솔 → 인스턴스 연결(Connect) → 키 페어 없이 브라우저에서 바로 접속 로컬 환경 접속 ● macOS: 터미널 ● Windows: TeraTerm, RDP ● 키 페어를 사용하여 SSH 접속

Slide 29

Slide 29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29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 (EIC) ● VPC 엔드포인트 기반으로 IGW·NAT 없이 안전하게 EC2 접속 추가 비용 없음, 데이터 전송 요금만 적용

Slide 30

Slide 30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30 EIC 사용 시 특징 ● IGW·NAT 없이 EC2에 직접 접속 가능 ● 다만 외부 인터넷 통신은 차단됨 → OS 업데이트·패키지 설치 시 NAT 필요

Slide 31

Slide 31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31 세션 매니저를 이용한 관리 콘솔에서 접속 ● VPC 내에서 NAT 게이트웨이를 생성해야 함 ● EC2 인스턴스에 세션 매니저 사용 권한 부여 필요 ● EC2가 내부에서 Systems Manager와 통신 가능해야 함 ● 따라서 인터넷 게이트웨이(IGW) 또는 NAT 게이트웨이를 통해 인터넷 연결이 필수 ※ 세션 매니저는 보안 그룹 설정 없이 접속 가능

Slide 32

Slide 32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32 세션 매니저를 이용한 관리 콘솔에서 접속 ● 콘솔에서 [세션 매니저] 탭 클릭 → 연결 버튼 클릭 → EC2 인스턴스 접속 완료

Slide 33

Slide 33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33 세션 매니저 포트 포워딩 접속 = 로컬 PC에서 CLI로 포트 포워딩 세션 생성 후 EC2에 접속 ● 관리 콘솔 로그인 불필요 → 로컬에서 직접 접속 가능 ● 세션 매니저 터널 → 로컬 PC와 AWS 간 안전한 연결 제공 ● 활용 사례 ○ 원격 디버깅 ○ 내부 시스템 접근 ○ 보안이 강화된 원격 접속 환경 구축

Slide 34

Slide 34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34 EC2 구성 요소 ● AMI: 인스턴스 시작 템플릿 ● 인스턴스 유형: CPU/메모리 조합 ● 스토리지 : 인스턴스 스토어, EBS ● 보안 그룹: 네트워크 방화벽 ● 키 페어: 접속 인증 EC2 접속 방식 ● 인터넷 직접 접속 ● 인스턴스 연결 엔드포인트(EIC) ● 세션 매니저 (콘솔 접속) ● 세션 매니저 (포트 포워딩)

Slide 35

Slide 35 text

가상 클라우드 서버, 아마존 EC2 35 아마존 EC2 생성 포트 포워딩 접속

Slide 36

Slide 36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아마존 RDS란?

Slide 37

Slide 37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37 데이터베이스 개념 ● 데이터를 일정한 형식과 구조로 저장·관리 ● 테이블: 데이터 단위 (예: 고객 정보 테이블 → 회사명, 고객명 포함) ● 엑셀과 유사: 시트 = 테이블, 행/열 = 데이터 구조

Slide 38

Slide 38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38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RDB) ● 대표적 유형: Oracle, MySQL, MariaDB ● 특징: 테이블 간 관계를 설정해 데이터 결합·추출 가능 ● 예: 고객 테이블(A) + 회사 테이블(B) → 조합 결과(C) 생성

Slide 39

Slide 39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39 아마존 RDS ● AWS 관리형 관계형 DB 서비스 ● 백업, 패치, 장애 감지·복구를 자동 관리 ●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에 집중 가능 아마존 RDS

Slide 40

Slide 40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0 아마존 RDS 아마존 RDS 구성 요소 ● 엔진 유형: MySQL, MariaDB, Oracle 등 선택 ● DB 인스턴스 클래스: CPU·메모리 스펙 ● 스토리지 유형: 범용 SSD, 프로비저닝 IOPS 등 ● DB 그룹: 파라미터 그룹, 옵션 그룹 관리

Slide 41

Slide 41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1

Slide 42

Slide 42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2 RDS DB 인스턴스 클래스 ● 스탠다드 : 범용 인스턴스 (균형 잡힌 성능) ● 메모리 최적화: 대용량 데이터 처리 앱에 적합 ● 버스터블 (t 계열): CPU 기준선 + 필요 시 버스트 가능

Slide 43

Slide 43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3 인스턴스 용어 정리 ● 인스턴스 클래스 : 성능 패키지 (예: t3, m5, r6g) ● 인스턴스 크기 : 리소스 크기 구분 (예: small, medium, large) ● 인스턴스 유형 : 클래스 + 크기 조합 (예: t3.small) ○ 일반적으로 nano ~ 2xlarge 범위를 제공하지만, 클래스마다 지원하는 크기 옵션은 다를 수 있음

Slide 44

Slide 44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4 스토리지 유형 ● 범용 SSD(gp2, gp3) : 비용, 성능 면에서 밸런스가 잡혀 있으며, 폭 넓게 사용 가능 ● 프로비저닝된 IOPS(io1) : 낮은 대기 시간과 높은 I/O 성능이 요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적합 ● 마그네틱 : 데이터의 액세스 빈도가 낮은 상황에서 사용하지만 구 세대 유형이기 때문에 권장하 ● 지 않음

Slide 45

Slide 45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5 아마존 RDS 아마존 RDS DB 그룹 ● 서브넷 그룹 : 서브넷의 집합을 의미하며, 해당 그룹에 속한 서브넷에 아마존 RDS가 생성됩니다. ● 파라미터 그룹 : DB 엔진의 파라미터 집합을 의미하며, 시간(time_zone), 문자 집합(characterset) 등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 옵션 그룹 : 연결된 데이터베이스의 스냅샷을 관리하고, 옵션을 추가해 다른 AWS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도우며, 데이터를 더 쉽게 관리하고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Slide 46

Slide 46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6 아마존 RDS RDS 확장성과 고가용성 ● 읽기 전용 복제본(Read Replica) → 읽기 성능 확장 ● 다중 AZ(Multi Availability Zone) → 장애 시 자동 장애 조치(고가용성)

Slide 47

Slide 47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7 읽기 전용 복제본 (Read Replica) ● 원본 DB(마스터) 복제본 ● 읽기 전용 (조회/검색 전용) ● 읽기 부하 분산 → 성능 확장 ● 여러 AZ에 배치 가능 → 가용성 향상 ● 목적: 확장성과 부하 분산

Slide 48

Slide 48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8 다중 AZ (Multi-AZ 배포) ● 원본 DB를 다른 AZ에 스탠바이 DB로 동기 복제 ● 원본 장애 시 스탠바이가 자동 승격 (Failover) ○ 장애 조치 시간: 약 1~2분 ● 스탠바이는 대기 전용 (읽기/쓰기 불가) ● 목적: 고가용성 확보

Slide 49

Slide 49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49 멀티 AZ 배포 유형 ● 멀티 AZ 인스턴스 ○ 스탠바이는 대기 전용 (읽기/쓰기 불가) ○ 장애 조치 시간: 약 1~2분 ● 멀티 AZ 클러스터 ○ 스탠바이도 읽기/쓰기 가능 ○ 장애 조치 시간: 35초 미만 ○ 제약 조건 ■ 지원 DB: PostgreSQL, MySQL ■ 마스터 + 최대 2대 DB ■ 프로비저닝된 IOPS SSD만 지원 ■ 기존 배포 ↔ 클러스터 간 전환 불가

Slide 50

Slide 50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50 아마존 RDS RDS 접속 패턴 ● 프라이빗 서브넷 EC2 + 클라이언트(예: 오라클 클라이언트) ● 포트 포워딩을 통한 접속 ● Internet Gateway 경유 접속 ● Site-to-Site VPN 연결 ● Direct Connect 연결

Slide 51

Slide 51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51 EC2 인스턴스를 이용한 RDS 접속 ● 가장 기본적인 접속 방법 ● 프라이빗 서브넷의 EC2 인스턴스에 DB 클라이언트를 설치 후 RDS 접속

Slide 52

Slide 52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52

Slide 53

Slide 53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53 퍼블릭 액세스를 통한 RDS 접속 ● RDS 생성 시 퍼블릭 서브넷 배치 및 퍼블릭 액세스 여부 선택 가능 ● 퍼블릭 액세스 허용 시 → RDS에 퍼블릭 IP 할당 ● 보안 그룹에 허용 IP 설정 → 해당 IP에서 접속 가능 ● 장점: 간편하게 접근 가능 ● 단점: DB가 외부에 노출되어 보안 위험 증가 → 권장하지 않음

Slide 54

Slide 54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54 Site to Site VPN / Direct Connect 통한 RDS 접속 ● EC2 인스턴스를 경유하지 않고, 프라이빗 네트워크로 직접 접속 ● VPN 또는 Direct Connect 환경에서는 더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 ● 포트 포워딩이나 EC2 경유 방식보다 권장되는 접속 방식

Slide 55

Slide 55 text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 아마존 RDS 55

Slide 56

Slide 56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56 객체 스토리지 (Object Storage) ● 일정한 형식이 없는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관리하는 스토리지 ● 파일 형식에 제약 없이 모든 형태의 데이터 저장 가능

Slide 57

Slide 57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57 객체 스토리지 예시 – Amazon S3 ●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파일 저장 가능 ● AWS에서는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를 Amazon S3로 제공 ● 즉, 비정형 데이터(객체)를 저장·관리하는 서비스

Slide 58

Slide 58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58 Amazon S3의 구조 ● 객체(Object)는 버킷(Bucket)이라는 스토리지에 저장됨 ● 버킷은 리전 전체에서 고유한 이름을 가짐 → 같은 이름 중복 불가 ● 객체는 버킷 내에서 고유한 키(Key)를 가짐 ● 같은 버킷 내에서 동일한 키로 저장 시 → 덮어쓰기 발생 ● ※ 키(Key) = 객체의 이름

Slide 59

Slide 59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59 Amazon S3의 저장 한도 및 제약 ● 버킷 1개당 저장 용량과 객체 수는 무제한 ● 객체 크기: 최소 0바이트 ~ 최대 5TB ● 버킷 생성 제한: 계정당 최대 100개 ● 관리 콘솔 업로드 제한: 최대 160GB ● 160GB 초과 객체 업로드 시 → CLI 사용 필요 아마존 S3

Slide 60

Slide 60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0 Amazon S3의 활용 예시 ● 단순 파일 저장소로 사용 가능 ● EC2 / RDS와 연동하여 데이터 교환 가능 ● 로그 저장, 백업 스토리지 등 안정적인 백업 솔루션으로 활용 ● 기본적으로 객체는 비공개 ● 미리 서명된 URL(Presigned URL)을 통해 지정된 기간 동안 객체 다운로드 가능

Slide 61

Slide 61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1 Amazon S3 객체 관리 기능 소개 ● Amazon S3는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을 제공 ● 이번에는 스토리지 클래스(Storage Class), 버저닝(Versioning), 라이프사이클 (Lifecycle) ● 세 가지 주요 관리 기능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마존 S3

Slide 62

Slide 62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2 S3 스토리지 클래스(Storage Class) ● Amazon S3는 다양한 스토리지 클래스를 제공 ● GET, PUT, POST, LIST, COPY 등 요청 수에 따라 요금 부과 ● 접근 빈도가 높을수록 요청 수 증가 → 요금도 함께 증가 ○ 따라서 접근 빈도와 요청 수를 고려해 적절한 클래스 선택 필요 ● 예: 접근이 적은 객체 → 저렴한 스토리지 클래스로 이동해 비용 절감 아마존 S3

Slide 63

Slide 63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3 아마존 S3 S3 스토리지 클래스(Storage Class) ● S3 Standard : 범용으로 사용되며, 동적 웹사이트, 콘텐츠 배포, 모바일 및 게임 애플리케이션, 빅데이터 분석 등의 다양한 사용 사례에 적합 ● S3 Infrequent Access : 액세스 빈도가 낮은 객체를 위한 스토리지 클래스이며, 백업, 재해 대책 파일 등에 적합 ● S3 One Zone-IA : 액세스 빈도가 낮은 객체를 위한 스토리지 클래스이며, 로그, 자주 액세스 하지 않는 데이터의 재생성 등에 적합

Slide 64

Slide 64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4 아마존 S3 S3 스토리지 클래스(Storage Class) ● S3 Glacier Instant Retrieval : S3 Infrequent Access와 비교해서 액세스 빈도가 현저히 낮으며, 의료 이미지, 미디어 자산 등에 적합 ● S3 Glacier Flexible Retrieval : S3 Infrequent Access와 비교해서 액세스 빈도가 현저히 낮으며 백업, 재해 복구 사용 사례에 적합 ● S3 Glacier Deep Archive : 규제 규정 준수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 7~10년 이상 보관할 필요가 있는 객체 혹은 백업, 재해 복구 사용 사례에 적합 ● S3 Intelligent-Tiering : 액세스 빈도에 따라 스토리지 요금을 최적화 함

Slide 65

Slide 65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5 S3 버저닝(Versioning) ● Amazon S3는 객체의 버전 관리 기능을 제공 ● 단일 객체의 여러 버전을 유지 가능 ● 실수로 삭제·덮어쓴 객체도 복구 가능 ● 버저닝 비활성화 시: ○ 객체는 단일 버전으로 저장 ○ 삭제·덮어쓰기 시 복구 불가 ● 버저닝 활성화 시: ○ 업로드할 때마다 새 버전 생성 ○ 필요 시 이전 버전으로 복원 가능

Slide 66

Slide 66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6 S3 라이프사이클 (Lifecycle) ● 객체의 수명주기 관리 기능 제공 ● 지정한 기간이 지나면 객체를 자동으로 삭제 또는 이동 ● 예: 수명주기 90일 설정 → 생성 후 90일 지난 객체 자동 삭제 ● 오래된 불필요한 객체를 정리하여 스토리지 비용 절감 가능

Slide 67

Slide 67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7

Slide 68

Slide 68 text

객체 스토리지 서비스, 아마존 S3 68 저는 여기에 서식하고 있어요

Slide 69

Slide 69 text

AWS 핵심 서비스 한눈에 보기: EC2, RDS, S3 개념과 활용법 2025/10/09 김재욱(Kim Jaewook) Solutions Architect | Class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