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라 다른 ViewHolder 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RecyclerView 의 ViewHolder 안에 RecyclerView 를 넣을 수 있음. 출처: https://medium.com/androiddevelopers/merge-adapters-sequentially-with-mergeadapter-294d2942127a ViewType1 ViewType2
재사용이 불가해 성능 문제 야기. But, 구현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아이템 개수가 적다면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음. 재사용 가능. Layout 파일을 수정하지 않아도 아이템만 추가해주면 같은 뷰를 몇 번이든 띄울 수 있음. But, 구현이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림. NestedScrollView Multi View Type 재사용 가능하며 Multi View Type 보다는 비교적 간단. Adapter 를 여러 개 이어 붙이는 방식. But. 아이템이 하나여도 어댑터로 구현해야 함. ConcatAdapter.Config 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개발자와 협업한다면 사이드 이펙트 발생 가능성. ConcatAdapter Section 1 01 02 03 Epoxy of Airbnb etc..
성능 이슈를 마주할 수 있다. Compose 는 화면에 보이는 아이템만 구현하는 컴포넌트 Lazy Layouts 을 제공한다. Composable content block 을 인자로 받는 다른 Compose Layout 과 다르게 않고 LazyListScope.() block 을 인자로 받는다. Section 2 Lazy Layouts in Compose
an infinity maximum height constraints, which is disallowed. One of the common reasons is nesting layouts like LazyColumn and Column(Modifier.verticalScroll()). If you want to add a header before the list of items please add a header as a separate item() before the main items() inside the LazyColumn sc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