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진 (Kaya) - 현) 어웨이크코퍼레이션 프로덕트 총괄 - 전) 큐피스트(글램) 프로덕트 총괄 /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분석가의 업무는 그 회사의 ‘데이터 성숙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답니다. 사내 최초의 데이터 분석가로 합류하여 데이터 조직을 만들고, 나아가 전사적인 데이터 문화를 구축한 Kaya님의 여정을 중심으로 회사의 성장에 따라 분석가와 데이터 팀이 만나는 챌린지에 관해 이야기할 예정이에요.
조직의 데이터 리터러시에 따라 달라지는데이터 분석가의 역할19:00 - 19:50
View Slide
데이터 분석가는 어떤 일을 하나요?
오늘 이야기할 내용
데이터 분석가 Kaya
친해지기 : 현황 진단을 통한 발견과 신뢰 구축스며들기 : 데이터 기반 피드백의 프로세스화앞서가기 : 선행적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과 예측
친해지기 : WHEN?
친해지기 1) 데이터로 제품/서비스를 이해하기
친해지기 2) 데이터 요청사항 지원하기
친해지기 3) 전사 데이터 교육하기
친해지기 4) 조직의 데이터 원칙 세우기 (데이터팀 내부)
친해지기 : 이 과정을 통해 얻은 것
스며들기 : When?
스며들기 1)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 참여하기
스며들기 2) 일상화된 가설 검증과 A/B 테스트
스며들기 3) Data Product
스며들기 4) 인프라, 자동화, 접근성 (데이터팀 내부)
스며들기 : 이 과정을 통해 얻은 것
앞서가기 : When?
앞서가기 1) 전략 수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
앞서가기 2) 고도화된 Data Product
앞서가기 3) 높은 수준의 비즈니스 이해 (데이터팀 내부)
앞서가기 4) 분석가의 우선순위 배분 (데이터팀 내부)
Data Maturity Model
생각해볼 만한 내용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