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찌저찌.. 필요한 것들을 다 갖추었다.. : Routing 규칙은 어떻게할까요? 데이터를 받아와서 View에서 사용하는건 어떻게 연결할까요? 비즈니스 로직 처리는 어디서 할까요? 세부 서비스가 있는데 이런건 어떻게 구분해서 규칙을 세울까요? 최초에 token처리를 해야하는데 이건 어디서 이루어 지나요? 구조를 어떻게 가져갈까요? 하지만, 이런 셋팅들을 다 했다고 하더라도, 비즈니스 로직 처리는 어떻게 할것인지, 폴더 구조는 어떻게 잡을 것인지 등 정말 프로젝트 관점에서 중요한 요소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 어찌저찌.. 필요한 것들을 다 갖추었다.. : 음, 그… Clean Architecture 어떨까요 : Routing 규칙은 어떻게할까요? 데이터를 받아와서 View에서 사용하는건 어떻게 연결할까요? 비즈니스 로직 처리는 어디서 할까요? 세부 서비스가 있는데 이런건 어떻게 구분해서 규칙을 세울까요? 최초에 token처리를 해야하는데 이건 어디서 이루어 지나요? 구조를 어떻게 가져갈까요?
Q. 협업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는? A. 소영님..코드를 읽을수 없어요 무슨 소리인지 도당췌… ;; A. 서버한테 받아오는 데이터 형식 어디있어요 ?? A. api 명세가 수정되었습니다!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까요… A. 새로 비즈니스 로직 짜고 싶은데 뭘 어디서부터 어떻게해야..;; A. 아니 이분은 무슨 기준으로 이렇게 짰는지 (새로 입사해서 레거시 인계받은 사람) ഈসҙ
ٜযоӝী 이런것들을 이야기 합니다. 이런 내용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1. 자세하게, Clean Architecture는 어떤 것인가? : ⚠ 재해석한 구조이기 때문에, Clean Architecture에서 말하고 있는 부분과 일부 다른점이 존재. 2. Domain 주도 개발에 대한 A to Z 1. 간단하게, Clean Architecture는 어떤 것인가? 2. BankSalad에서 바라봤었던 Clean Architecture의 구현체
*-BZFST 1SFTFOUBUJPO %BUB %PNBJO &OUJUZ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로직과 관련된 Layer 네트워크를 포함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Layer 사용자의 use case로 분리되는 Layer 개념을 정의하는 Layer ⚠ Uncle Bob didn't say this.⚠ ੋ ҳઑܳ 4ѐ ۨয۽ ա־য ࠁওणפ.
*-BZFST 1SFTFOUBUJPO %BUB %PNBJO &OUJUZ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로직과 관련된 Layer 네트워크를 포함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Layer 사용자의 use case로 분리되는 Layer 개념을 정의하는 Layer ⚠ Uncle Bob didn't say this.⚠ -BZFSܻ࠙৬ઓࢿੑী'PDVT
View 는 Service 만 알았고, $MFBO"SDIJUFDUVSF Service 안에 행동이 정의되어 있으며 그 행동은 주입받은 repository에 의존합니다. if ( 이 규칙을 이해한다 ) { return [빠른 개발 , 규칙적인 개발] } JO#BOL4BM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