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grade to Pro — share decks privately, control downloads, hide ads and more …

[FOSS for All] 리브레오피스 소개 및 문서 표준과 ODF (Introduc...

[FOSS for All] 리브레오피스 소개 및 문서 표준과 ODF (Introduction to LibreOffice & ODF, Document standards in Korea)

[FOSS for All] 리브레오피스 소개 및 문서 표준과 ODF(Introduction to LibreOffice & ODF, Document standards in Korea)

리브레오피스의 소개 및 ODF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소개를 합니다.
ODF는 ISO/IEC 26300 국제 표준이며, 리브레오피스의 기본 문서 포맷입니다.
문서 표준으로 OOXML을 밀고 있는 Microsoft 또한 ODF 표준화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의 문서 표준 현황을 다루며, 왜 ODF가 중요한지, 폐쇄적 포맷(OOXML, HWP등)과의 차이점, 그리고 공공기관에서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서도 소개하겠습니다
한국은 ODF 1.0을 국가표준으로 채택했지만, 실질적 사용률은 매우 낮은 실정입니다.
ODF와 함께 HWPX(OWPML)가 국가 표준으로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공공기관에서 구형 바이너리 HWP 파일을 사용하여 발생하는 문제점을 공유하겠습니다.

리브레오피스와 ODF는 단순한 소프트웨어가 아니라, 디지털 주권과 자유를 위한 도구입니다.
AI시대에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문서 포맷(machine readable format)이 왜 중요한지 이야기 하면서 hwp의 한계도 이야기 하겠습니다.

최종적으로, 글로벌 표준 및 AI 활용성 증대를 위해 ODF 사용을 촉구하고, 한국에서 실질적 ODF 사용 확산의 계기가 마련되었으면 합니다.

Avatar for DaeHyun Sung

DaeHyun Sung PRO

November 08, 2025
Tweet

More Decks by DaeHyun Sung

Other Decks in Technology

Transcript

  1. 본 발표 내용은 발표자 개인의 의견이며, 발표자의 소속 회사의 공식

    입장과 무관합니다. 발표 내용에 대한 모든 책임은 발표자 개인에게 있습니다. The views and opinions expressed in this presentation are those of the speaker alone and do not represent the official position of the speaker’s employer. The speaker alone is responsible for the content. 면책조항(Disclaimer)
  2. 성대현(成大鉉, DaeHyun Sung) - 오픈소스를 사랑하는 사람 - 리브레오피스 한국어팀

    운영(2017 - 현재) - KDE, GNOME 등 여러 FLOSS에 기여함 - TDF(The Document Foundation) 회원 https://www.documentfoundation.org/governance/members/ - openSUSE Asia Organization Committee https://en.opensuse.org/openSUSE:Asia_Organization_Committee - (前) GNOME Foundation Membership https://foundation.gnome.org/membership/ 발표자 소개
  3. 01 02 03 리브레오피스(LibreOffice) 소개 대한민국의 문서 표준 문서 파일

    확장자 비교 목차 04 한국의 문서 포맷 사용 문제점 06 제언(提言)과 홍보 05 전세계 ODF 채택 사례
  4. • 모든 기능을 갖춘 프리 오픈소스 소프트웨어(FLOSS) 오피스 제품 모음

    • OpenOffice.org에서 파생한 유명한 오피스 프로젝트 이며 전세계 20억 사용자가 사용 • 독일에 등록된 비영리단체 The Document Foundation서 운영 • Windows, Linux, MacOS, Android등 여러 플랫폼 사용가능 • 라이센스(License): https://www.libreoffice.org/about-us/licenses ◦ Mozilla Public License v2 : https://www.olis.or.kr/license/Detailselect.do?lId=1088&mapCode=010092&lType=osi ◦ GNU Lesser GPL v3+ https://www.olis.or.kr/license/Detailselect.do?lId=1073&mapCode=010073&lType=osi 리브레오피스 (LibreOffice)의 소개
  5. • 특정 공급업체나 제품에 얽매이지 않고 문서 파일에 접근 가능하고

    편집 가능하며 시간이 지나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기술 표준이자 도구 • 2005년 5월 OASIS와 2006년 5월 ISO/IEC 개방형 표준 문서 형식으로 승인 ◦ 독립성(Independent) ▪ 누구든 오픈 포맷을 처리하는 소프트웨어를 작성할 수 있음 ◦ 상호운용성(Interoperable) ▪ 이기종 시스템 간에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음 ◦ 중립성(Neutral) ▪ 사용자가 특정 제품을 채택하고 자주 구매하도록 강요하지 않지만, 기능/품질 vs 가격 비율에 따라 선택의 폭을 넓게 함 ◦ 영구성(Perennial) ▪ “진화" 기반 노후화로부터 사용자 개발 콘텐츠를 보호함 ODF Open Document Format - 개방형 표준 포맷(Open Standard Format)
  6. •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 ODF는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에 기반 둠 ◦ 출처: FOSDEM

    2021 - Introduction to ODF Basics of Interoperability https://archive.fosdem.org/2021/schedule/event/odf_for_interoperability/ ODF Open Document Format - 개방형 표준 포맷(Open Standard Format)
  7. • 파일 타입 유형 ◦ .odt: 문서(LibreOffice Writer), open document

    text file, 개방형 표준 ODF기반으로 만듦 ◦ .ods: 스프레드시트(LibreOffice Calc) ◦ .odp: 프레젠테이션(LibreOffice Impress) ◦ .odg: 벡터 그래픽과 다이어그램(LibreOffice Draw) ◦ .odf: 수학 공식(LibreOffice Math) • 참고 - Understanding ODF File Types: .odt, .ods, .odp, and Beyond https://blog.documentfoundation.org/blog/2025/07/25/understanding-odf-file-types-odt-o ds-odp-and-beyond/ ODF Open Document Format - 개방형 표준 포맷(Open Standard Format)
  8. • 마일스톤 ◦ ODF 1.0 (2006): 기본 문서 유형을 정의한

    초기 버전 ▪ 텍스트 (.odt), 스프레드시트 (.ods), 프레젠테이션 (.odp) ◦ ODF 1.1 (2012): 수식 사양에 대한 업데이트와 접근성 개선을 하였으나, 표준화로 제출하지 않음 ◦ ODF 1.2 (2015): 디지털서명, RDF 메타데이터, 스프레드 시트 계산 표준화를 위한 OpenFormula 도입 ◦ ODF 1.3 (2020): 보안기능 확장(암호화 및 가져오기/내보내기 규칙 개선과 규정 준수 조항 등등) • 출처: Understanding ODF compliance and interoperability https://blog.documentfoundation.org/blog/2025/06/20/understanding-odf-compliance-an d-interoperability/ ODF Open Document Format - 개방형 표준 포맷(Open Standard Format)
  9. • OOXML을 지원하는 Microsoft사에서도 Office에 ODF 지원 ◦ Office apps

    now support OpenDocument format 1.3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discussions/microsoft365insider/office-app s-now-support-opendocument-format-1-3/2487203 ◦ Microsoft 365 apps now support OpenDocument Format 1.4 https://techcommunity.microsoft.com/blog/microsoft365insiderblog/microsoft-365 -apps-now-support-opendocument-format-1-4/4226735 • ODF Technical Committee의 주 활동 회원 ◦ Collabora(allotropia 합병), Microsoft, TDF(The Document Foundation) ▪ 참고: ODF state of the union(LibreOffice Conference 2024) https://events.documentfoundation.org/libreoffice-conference-2024/talk/CLE87H/ ODF Open Document Format - 개방형 표준 포맷(Open Standard Format)
  10. • ISO/IEC Guide 2:2004 “Standardization and Related Activities - General

    Vocabulary” ◦ A document, established by consensus and approved by a recognized body, that provides rules, guidelines or characteristics for activities or their results, aimed at the achievement of the optimum degree of order in a given context, for common and repeated use ▪ 합의에 의해 수립되고 공인(인정)된 기관에서 승인한 문서로, 주어진 맥락에서 최적의 질서 수준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활동이나 그 결과에 대한 규칙, 지침 또는 특성을 제공하며, 공통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됩니다. ◦ Standards should be based on the consolidated results of science, technology and experience, and aimed at the promotion of optimum community benefits. ▪ 표준은 과학, 기술 및 경험의 통합된 결과를 기반으로 하며, 최적의 지역 사회 및 커뮤니티(Community)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표준은 무엇인가? 標準, Standard
  11. • ODF(Open Document Format) - ◦ https://www.iso.org/standard/66363.html ◦ 2006년 최초

    등록 ◦ ISO/IEC 26300-1:2015 ◦ OASIS(Organiz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tructured Information Standards) 에서 표준화 진행 및 관리 • OOXML(Office Open XML File Formats) ◦ https://www.iso.org/standard/71691.html ◦ 2008년 최초 등록 ◦ ISO/IEC 29500-1:2016 ◦ MS사 주도로 표준화 진행 및 관리 국제 문서 표준 Document Standard - ODF & OOXML
  12. KS X ISO/IEC 26300 (2007년 최초 등록) - ODF v1.0

    기반 https://www.standard.go.kr/KSCI/standardIn 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91 9&topMenuId=502&upperMenuId=503&ksN o=KSXISOIEC26300&tmprKsNo=KSXISOI EC26300&reformNo=03&displayBlock=non e&displayBlock2=block KS X 6101 (2011년 최초 등록) https://www.standard.go.kr/KSCI/standardIn tro/getStandardSearchView.do?menuId=50 3&topMenuId=502&ksNo=KSX6101&tmprK sNo=KSX6101 ODF OWPML 대한민국의 문서 표준 ODF & OWPML
  13. • HWPML (.hml): 한글과 컴퓨터의 첫 xml기반 문서 표준, 1997년에

    출시함 • HWP v3.0(.hwp) : 옛 바이너리 표준, 리브레오피스와 MS Office에서 지원함 • HWP v5.0(.hwp) : 현재 주로 사용하는 문서 포맷, 2010년 7월 출시함 (바이너리 기반, zip형식으로 생성함) • OWPML (.owpml) : HWPML기반, xml기반 국가 문서 표준, 2010년 출시 [2011년에 KS X 6101 로 국가 표준 등록됨] • HWPX(.hwpx) : 한글과 컴퓨터에서 재정의한 xml기반의 문서 표준. 현재 2021년 4월 15일부터 HWP에서 추천하는 문서 포맷 ◦ 참고 https://www.hancom.com/board/noticeView.do?board_seq=3&artcl_seq=6453&pa geInfo.page&search_text HWP HWP 포맷의 종류
  14. • 한글과 컴퓨터 공식 사이트 ◦ HWP/OWPML 형식 https://www.hancom.co.kr/support/downloadCenter/hwpOwpml ◦

    한/글 문서 파일 형식 : HWPX 포맷 구조 살펴보기 https://tech.hancom.com/hwpxformat/ ◦ 한글과 컴퓨터에서 공개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https://developer.hancom.com/opensources • ClamAV 0.99.1: Hangul Word Processor (HWP) Document Support ◦ https://blog.clamav.net/2016/03/clamav-0991-hangul-word-processor-hwp .ht HWP HWP 포맷의 종류
  15. • Microsoft사에서 만든 문서 표준 • 파일 구조 ◦ XML기반의

    파일 포맷 사양 ◦ zip 파일로 package함 OOXML 오피스 오픈 XML(Office Open XML)
  16. • 2011년 12월 30일 제정된 한국표준(KS) ◦ 대한민국 문서 표준으로

    채택된 ODF의 영향을 받아 만든 규격 • 파일 구조 ◦ XML기반의 파일 포맷 사양 ◦ zip 파일로 package함 OWPML OWPML(Open Word-Processor Markup Language)
  17. • 파일 구조 ◦ XML기반의 파일 포맷 사양 ◦ zip

    파일로 package함 ◦ OWPML과 구조 동일 ◦ 내용은 Contents/section0.xml hwpx
  18. • Github: https://github.com/studioego/pyconkr2025_odf_hwpx_example ◦ python으로 ODF, HWPX, DOCX의 내용 조회하는

    코드 작성 ◦ zip 파일 안 xml 내용 조회하면 됨 파이썬으로 ODF, HWPX, DOCX 내용 조회 XML+zip 구조의 파일이면 내용을 쉽게 읽을 수 있음
  19. ISO/IEC 26300 목적: 편집 가능한 문서 교환 구조: ZIP압축+XML기반 구성

    편집이 쉬움(XML파싱) 데이터 추출 용이함 ISO 32000 목적: 출력용 고정 문서 배포 구조: 바이너리/스트림 구조 편집이 쉽지 않음 데이터 추출 어려움 ODF PDF PDF는 문서 교환 문서 포맷이 아님 많은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에서 문서 교환 포맷
  20. 정부 및 공공기관의 문서 포맷 사용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 -

    hwpx 사용 출처: https://www.moe.go.kr/boardCnts/viewRenew.do?boardID=294&boardSeq=103782&lev=0&searchType=null&stat usYN=W&page=1&s=moe&m=020402&opType=N
  21. 정부 및 공공기관의 문서 포맷 사용 국립국어원 - hwp 사용

    출처: https://www.korean.go.kr/front/board/boardStandardView.do;front=D690744AE7EBD4F30734771FDC7878FD?bo ard_id=6&b_seq=1008&mn_id=184
  22. 정부 및 공공기관의 문서 포맷 사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hwpx, odt(ODF규격의

    문서파일) 다운로드 가능 출처: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307&mPid=208&pag eIndex=&bbsSeqNo=94&nttSeqNo=3186046&searchOpt=ALL&searchTxt=
  23. 정부 및 공공기관의 문서 포맷 사용 근로복지공단 퇴직연금 - hwp

    및 pdf 사용 출처: https://pension.comwel.or.kr/websquare/?w2xPath=/pages/cus/HP05010402.xml&GESIMUL_SER=4173&GESIPAN_FG=0050&C ATEGORY=&CURRENT_PAGE=1&SEL_CODE=ALL&TITLE=&NAEYONG=
  24. • 2025년 현재, 일부 정부 부처에서 hwp대신 zip+xml기반의 hwpx로 문서

    파일을 저장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hwpx, odt로 다운로드 하는 선택사항 존재 • 문서양식은 아직도 hwp로 작성해야하는 경우가 많음 • 대부분의 경우 공공기관에서는 ODF, OWPML 기반의 hwpx도 아닌 바이너리 파일 형태의 hwp를 사용함 • [이런! IT강국]③ 외국인에게 HWP로 문서 작성하라는 대사관 ◦ 조선일보 2019년 5월 1일 기사 ◦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4/30/2019043002500.html ◦ "How to open HWP file(HWP 파일 여는 방법)." 대한민국의 문서 표준 현실은 표준을 지키지 않음
  25. • hwp의 문제 - 바이너리 파일의 문제 ◦ 바이너리 파일의

    문제: 악성 코드를 주입하기 쉬움 ▪ [주의]한글 문서(HWP)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발견 https://isarc.tachyonlab.com/176 • 편집은 무조건 hwp로만 제공하는 공공기관이 존재함 -> hwp을 사용해야하는 문제 • MS Office, HWP 모두 ODF로 저장 선택사항이 존재하는데 사용하지 않음 • HWP는 오픈소스가 아닌 독점 소프트웨어(proprietary software) • 해외에 사는 재외국민도 HWP를 구입하지 못하면 서류를 쓰지 못함 • 국가 문서 표준은 ODF와 OWPML인데, ODF를 왜 사용하지 않는 것일까? ◦ AI가 학습을 하려면 ODF, OWPML(hwpx), OOXML(docx)와 같은 xml기반의 파일이어야 쉬운데, binary 기반의 hwp는 바이너리 분석을 해야 내용을 읽을 수 있기때문에 처리 속도 문제 있음 • ODF를 사용하면 외국인과 재외국민도 HWP를 설치하지 않아도 국제 표준의 문서 포맷 ODF로 편집 할 수 있음 대한민국의 문서 표준 정부 및 공공기관의 문서 포맷 사용 문제점
  26. Dan Bielefeld - Mapping Crimes Against Humanity in North Korea

    with FOSS - Akademy 2018 https://www.youtube.com/watch?v=ITzFXeg4UGU&t=1700s 외국인이 접근하기 어려움 KDE aKademy 2018 Keynote
  27. “정부 문서 91% AI가 못 읽는다”...행안부, 문서시스템 대전환 착수 https://it.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2023092150212

    • 출처: IT조선(https://it.chosun.com) ◦ 현재 정부 문서 환경이 AI 학습에 제약이 된다는 지적이 있기 때문이다.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전국 행정기관 종사자 1만42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91.1%가 보고서·계획서 등 행정문서를 주로 HWP나 이미지·스캔 PDF 등 AI가 인식하기 어려운 형식으로 작성한다고 답했다. ◦ 위성곤 의원은 지난 국정감사에서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에게 “현재 행정 문서의 90% 이상이 HWP나 PDF처럼 AI가 읽지 못하는 폐쇄형 포맷”이라며 “이런 구조 하에 공공 AI의 혁신적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 해당 문제는 행정 효율성을 넘어 국가 안보 영역까지 확장되고 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최근 “HWP 문서 포맷이 한국의 사이버 보안 체계, 더 나아가 한미동맹의 신뢰 구조를 위협할 수 있다”는 분석을 제기했다. 정부 문서 대부분은 AI로 학습을 못한다는 기사 hwp는 바이너리 포맷이라 odt, docx, hwpx와 같은 xml형식과 다르게 읽기 어려움
  28. • HWP as an Attack Surface: What Hancom’s Hangul Word

    Processor Means for South Korea’s Cyber Posture as a US Ally ◦ https://www.38north.org/2025/10/hwp-as-an-attack-surface-what-hancoms-hangul-word -processor-means-for-south-koreas-cyber-posture-as-a-us-ally/ ◦ HWP 문서 포맷이 한국의 사이버 보안 체계와 한미동맹을 위협할 수 있다고 주장함 • ClamAV 0.99.1: Hangul Word Processor (HWP) Document Support ◦ https://blog.clamav.net/2016/03/clamav-0991-hangul-word-processor-hwp.html ◦ The documents’ specialization in Korean make it a highly popular format used in South Korea with the government being a notable example. As popular format, it is subjected to possibly malicious content. 국가 보안의 취약점으로 이야기 하는 hwp HWP의 취약점
  29. •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주 ◦ Microsoft Office에서 LibreOffice로 30,000대의 PC에 마이그레이션

    ◦ Updates on Schleswig-Holstein moving to LibreOffice https://blog.documentfoundation.org/blog/2025/03/13/updates-on-schleswig-holstein-moving-t o-libreoffice/ ◦ Migration to LibreOffice and ODF for 30,000 clients in government of Schleswig-Holstein, Germany https://www.youtube.com/watch?v=Qx0IQqhO6hY • 덴마크 디지털화부 ◦ 2025년 여름 Microsoft Office에서 LibreOffice로 변경 할 예정 ◦ Danish Ministry switching from Microsoft Office/365 to LibreOffice https://blog.documentfoundation.org/blog/2025/07/08/danish-ministry-switching-from-microsof t-office-365-to-libreoffice/ 전세계 ODF채택 사례 유럽의 사례
  30. • 대한민국 문서 표준은 ODF와 HWPX(OWPML)로 제정됨 • 현재, 일부

    중앙정부 부처를 제외한 공공분야(정부기관, 지자체, 공공기관, 대학 등등)은 국가표준이 아닌 HWP를 사용함 • HWP는 기계가 쉽게 읽을 수 있는 확장자가 아니기 때문에 AI연구에도 문제가 있음 • ODF의 경우, OOXML을 표준으로 내세운 MS사도 표준에 참여하고 있음 • ODF 문서 편집기는 리브레오피스뿐만 아니라 MS Office, HWP프로그램에서도 가능함 • 수많은 국가 및 정부기관, 기업에서 ODF를 문서 표준으로 채택중 • 글로벌 표준 및 AI활용성 증대를 위해 공개 문서 표준으로 HWPX뿐만 아니라 ODF로 공개를 해야한다고 보고 있음 제언(提言) 글로벌 환경의 문서 교환을 위해 ODF를 사용하자
  31. hwp, hwpx, docx(OOXML)뿐만 아니라 ODF(odt)도 있음 docx(OOXML)뿐만 아니라 ODF(odt)도 있음

    한글2022 MS Word 제언(提言) ODF문서 편집은 상용 프로그램에서도 가능
  32. 지원 포맷으로 ODF(odp), OOXML(pptx), txt, 이미지 지원 지원 포맷으로 OOXML(docx),

    ODF(odt), Markdown, epub등을 지원 Google Presentation Google Docs 제언(提言) 온라인 문서 편집기에서 ODF문서 내보내기도 쉬움
  33. - 날짜: 2025년 12월 13일(토)-14일(일) - 장소: 일본 도쿄 이다바시

    그랜드 블룸 IIJ본사 - Iidabashi Grand Bloom, 2-10-2 Fujimi, Chiyoda-ku, Tokyo - 東京都千代田区富士見2-10-2 飯田橋グラン・ブルーム - LibreOffice Asia Conference web site: https://conf.libreoffice.asia/2025 - GNOME Asia Summit 2025 web site: https://events.gnome.org/event/303/ - 행사 참여 링크(Connpass): https://libojapan.connpass.com/event/372838/ LibreOffice Asia Conf x GNOME Asia Summit 2025
  34. - 홈페이지: https://www.libreoffice.org/ - 블로그: https://blog.documentfoundation.org/ - 위키: https://wiki.documentfoundation.org/ -

    버그질라: https://bugs.documentfoundation.org/ - Gerrit 코드 리뷰: https://gerrit.libreoffice.org/ - (YouTube ) LibreOffice Official https://www.youtube.com/channel/UCQAClQkZEm2rkWvU5bvCAXQ - (YouTube ) This is LibreOffice https://www.youtube.com/watch?v=3KC0ZdcA6s8 관련 링크 Reference Links